본문 바로가기
  • Be curious

전체 글62

사업자등록 - 업종, 업태 코드 정하기 사업자 등록을 하려면 업종 선택을 해야 하는데, 직장인만 해본 나는 이런 업종, 업태에 대한 얘기는 회사 사업자등록증에서 본 기억밖에 없었다. 내가 구상하는 사업 아이템을 하려면 뭘 선택해야 할지, 이 선택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일지 고민한 내용을 정리해 보았다. 업종이란? 나의 사업자 등록증으로 무엇을 어떻게 판매하여 사업을 하려고 하느냐에 대한 정의이다.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 세세분류 단계로 나누어져 있으며, 아래 예시와 같이 같은 통신 판매업 이더라도 분류가 세분화된다. 2023년 귀속 업종코드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 세세분류 525101 도매 및 소매업 소매업; 자동차 제외 무점포 소매업 통신 판매업 전자상거래 소매업 525102 도매 및 소매업 소매업; 자동차 제외 무점포 소매.. 2024. 2. 12.
사업자 등록 준비 과정 - 비상주 사무실, 장단점, 선택 이유 사업자 등록을 준비하며 이것저것 알아보다가 알게 된 비상주 사무실 / 비상주 오피스. 비상주 사무실이 무엇인지, 장단점과 내가 결국 개인사업자 등록을 위해 비상주 사무실을 계약하게 된 내용과 과정에 대해 정리한다. 비상주 사무실이란? 말 그대로 상주하지 않는 사무실, 사업자등록 상 주소지를 임대차 계약을 통해 얻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고정 "좌석" 또는 "사무공간"이 필요하다라고 하면 내가 상주할 수 있는 지정된 공간이 있는 사무실이 필요하겠지만, 대부분 집에서 일하거나, 온라인 스토어를 운영해서 사무실이 실제로 굳이 필요하지 않거나, 또는 외근 및 영업 위주여서 상주할 공간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가 해당될 듯하다. 비상주 사무실의 장단점은? TIP: 사업자 업종 및 본인의 상황에 따라 장단점의 꼼꼼한 .. 2024. 2. 8.
맥북 - 크롬에서 홈택스 접속 시 부정접속차단 에러 해결법 사업자 등록 신청을 홈택스에서 해야 해서 접속을 했는데, 에러 때문에 귀찮았던 내용을 혹시 도움이 될까 하여 정리해 본다. 사실 직장인만 해온 나에게 홈택스는 1년에 한 번, 연말정산 할 때만 들어가서 내려받기하는 사이트였다. (메뉴가 뭐 많긴 한데 신경 쓴 적이 없던 것 같다) 금융인증 로그인 할 때는 아무 문제가 없었는데, 사업자등록 신청 페이지를 들어가니 부정접속차단 설치가 필요다는 안내 팝업이 뜬다. 맥북을 쓰긴 하지만, 요즘 대부분의 사이트는 - 특히 크롬으로 접속할 경우 큰 문제가 없었어서 좀 당황지만 설치를 했다. 여기서 문제가, 설치를 아무리 하고, 크롬을 재시작하고 컴퓨터를 리부팅해도 자꾸 설치하라는 팝업이 뜨는 것이었다. 결국 헤매다 아주 쉬운 해결법을 찾았는데, 그 방법은 바로 Saf.. 2024. 2. 7.
청년 창업 소득세 감면 제도 - 나이, 기간, 조건 등에 따라 최대 5년간 최대 100% 감면 직장생활을 오래 해서 그런지, 소득의 일부를 세금 등의 목적으로 알아서 제외하고 돈을 받는데 익숙했던 1인으로, 창업 중 가장 궁금했던 부분은 세금 관련된 부분이었다. 특히 뉴스를 보면 청년들의 창업을 위해 다양한 제도가 있다고 하던데, 어떤 제도를 활용 가능할지, 특정 조건이 필요한지, 제도의 혜택을 받기 위해 필요한 준비물은 어떤 것들이 있을지에 대해 알아보다 알게 된 에 대해 알게 되어 정리한다. (청년) 창업 중소기업 세액 감면 제도란? 정부에서 만 15세 - 34세의 청년 창업 중소기업에 대해 소득세 또는 법인세를 감면해 주는 제도로, 조건에 따라 5년간 소득세 또는 법인세를 최대 100% 감면받을 수 있는 제도. 감면받을 수 있는 여러 조건의 시나리오 중 만 15 ~ 34세 청년이 최대 100.. 2024. 2. 6.
풀타임 직장인의 n잡 도전 기록 어떻게 시작하게 되었나 직장생활 10년 차에 접어들며, 새로운 걸 도전해 보자 라는 생각에 나도 n잡을 해보자! 생각하게 되었다. 다른 사람들은 부업으로 무엇을 하나 보았는데, 간단한 앱이나 서비스를 만들어서 광고를 붙이거나, 네이버 스토어를 통해 구매 대행이나 직구를 하거나, 크몽 등을 통해 디자인이나 또는 소소한 코칭/강의를 하거나 등 생각보다 쉽게 시작할 수 있는 것도 많고, 내가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이 무엇인가 생각도 깊게 하게 되고, 경쟁자가 많은 분야는 이게 가능할까 싶기도 했다. 하지만 고민만 하다가 결국 아무것도 못할 것 같아서 일단 무엇이든 시작해 보자 생각했다. 무엇을 할까 에 대한 고민 개인의 현재 상황과 투입할 수 있는 시간과 노력을 대략 감안하여 아래와 같이 조건을 우선 잡아보았다.. 2024. 2. 5.
반응형